티스토리 뷰
슬기로운 의사생활 인물관계도 줄거리 정리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의 인물 관계도와 줄거리에 대한 네티즌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지난 12일 밤 첫 방송된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누군가는 태어나고 누군가는 삶을 끝내는, 인생의 축소판이라 불리는 병원에서 평범한 듯 특별한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사람들과 눈빛만 봐도 알 수 있는 20년지기 친구들의 케미스토리를 담은 드라마입니다.
드라마를 이끌어가는 의사 5인방 익준(조정석 분), 송화(전미도 분), 석형(김대명 분), 준완(정경호 분), 정원(유연석 분)은 모두 99학번 의학 대학 동기입니다.
극중 익준은 간담췌외과 교수로 낙관적이고 긍정적이며 부족함이 없는 인물입니다. 노는 것도 성적도 늘 일등만 하며 어디에서나 존재감을 드러냅니다. 송화는 신경외과 교수로 의대 동기 5인방의 유일한 홍일점이자 정신적 지주를 맡고 있습니다. 석형은 속을 알 수 없는 은둔형 외톨이로 귀차니즘의 대명사가 된 산부인과 교수입니다.
이어 준완은 시크하고 까칠한 매력이 돋보이는 실력파 흉부외과 교수로 송화 앞에선 순한 양이 되는 인물입니다. 정원은 소아과 의사로 다정함과 예민함을 오가는 매력적인 캐릭터로, '금수저'이지만 묵묵히 자신만의 가시밭길을 걷습니다.
한편 tvN 드라마 '슬기로운 의사생활'은 총 12부작으로 매주 목요일 밤 9시 방송됩니다. 앞서 '응답하라'시리즈와 '슬기로운 감빵생활'을 연출한 신원호 감독과 이우정 작가의 신작으로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 속 인물관계도가 화제인 가운데 신현빈, 김준한, 곽선영의 러브리안에 대한 시청자들의 궁금증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9일 방송된 tvN '슬기로운 의사생활'에서 안치홍(김준한)은 채송화(전미도)를 향해 자신의 마음을 고백합니다.
홈페이지에 공개된 인물정보를 살펴보면 안치홍은 '살면서 누구 앞에서도 기죽거나 주눅 든 적이 없었는데...이상하게 단 한 사람. 채송화 교수님 앞에만 서면, 군기 바짝 든 육사생도처럼, 몸도 마음도, 머리도 굳어버려 매번 실수를 저지른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이어 '그래도 그녀가 좋았다. 낡은 신발을 신은 그녀의 발이 신경 쓰였고, 작은 몸이 부서져라 병원을 뛰어다니는 모습이 안쓰러웠고, 꽃을 보며 활짝 웃는 송화가 예뻤습니다. 하지 말라고 해서 멈춰지는 마음이 아닌데. 갈 수도 없고, 멈출 수도 없어, 치홍의 마음은 복잡하다'라고 소개됩니다.
채송화(전미도)의 인물설명에는 '그 어떤 사랑도, 살리고 싶은 환자만큼 송화를 애타게 하는 건 없었다. 물론 첫사랑은 있었다. 스무 살, 그 한 해의 청춘을 송화는 사랑으로 불태웠습니다. 이후의 연애는 딱히 기억나는 것도, 아쉬운 이별 같은 것도 없었다'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
김준완(정경호)의 고백을 받은 이익준(조정석)의 여동생 이익순(곽선영)의 인물소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대에선 ‘독사’로 불리며 독종 소령으로 유명하지만, 어릴 적엔 담도폐쇄증으로 큰 수술을 받는 등 병치레가 잦았습니다. 그래서인지 여전히 집에선 귀여운 딸이자 오빠 익준에겐 늘 챙겨야 할 철부지 동생입니다.
어릴 때부터 햄보단 젓갈, 케첩보단 고추장을 좋아할 정도로 어른 입맛이었던 익순입니다. 지금도 회, 곱창, 평양냉면, 순댓국을 즐기며, 가장 좋아하는 음식은 쏘가리매운탕입니다. 부대에 매인 몸이라, 맛집 탐방은 인터넷으로 하는 신세가 처량할 뿐이다'라고 적혀있습니다.
앞서 김준완은 익순이 있는 부대인 강원도까지 자장면을 먹기 위해 왔다고 말해 두 사람의 러브라인에 대한 기대감을 고조시키기도 했습니다.
안정원(유연석)을 짝사랑하는 장겨울(신현빈)의 인물소개에는 '중학교 때까지 육상선수로 활약한 이력 덕에 제일 먼저 환자를 만나는 건 늘 겨울입니다. 항간에 떠돌던 ‘100미터 13초 돌파’의 소문을 몸소 증명해 내고 있다'라고 소개됩니다.
이어 '여기저기 겨울만 찾는 통에, 스트레스는 쌓여가지만, 겨울만의 해소법이 있으니 그건 바로, 음식입니다.
먹었다 하면 과자는 박스째 끝장을 보고, 컵라면 2개쯤은 에피타이저로 먹습니다. 늘 찬 바람만 불던 겨울의 마음에 봄빛 한 줄기가 내려왔습니다. 생기 없던 병동이 순식간에 밝아지고, 전쟁터 같은 응급실에 꽃내음을 퍼뜨리는 남자! 바로 정원이다'라고 게재되었습니다.
특히 '정원만 보면 동장군 같은 겨울의 얼굴에도 남몰래 웃음꽃이 피고 맙니다. 다정다감하기로 유명한 정원인데, 언제부턴가 겨울에게만 유난히 쌀쌀맞은데다, 고급 정보통에 의하면 꿈이 신부님이라던데...시작도 하기 전에 넘어야 할 산이 히말라야 급인 기분입니다. “장겨울 선생!” 말고, “겨울아!” 한 번 들어 봤음 소원이 없겠는데...정원의 극존칭에 늘 마음이 아려온다'라고 소개되어 있습니다.